교육연구단소개

중심어

액티브시니어 스마트헬스케어 마이크로융합트랙제
생체측정 면역진단 생체디지털트윈
모션감지/분석 운동치료 디바이스제작

교육연구단의 비전과 목표

비전 액티브시니어 신산업 창출 및 전문인력 육성을 통한 촉경화 사회 문제 해결
목표 스마트 헬스케어 융합기술 신산업 창출 및 전문인력양성

기계공학-생물공학-스포트과학의 융합 연구와 교육을 통해 액티브시니어 맞춤형 스마트 헬스케어 융합기술 신산업 창출과 해당 분야의 핵심역량을 갖춘 전문이력 양성

∙ 교육: 스포츠과학-생물공학-기계공학 마이크로융합트랙 기반 다학제 융합교육체계 구축 및 문제해결형 인재양성

∙ 연구: 마이크로융합트랙 별 해외대학/연구기관 매칭 기반 신융합연구분야 창출 및 연구의 글로벌 역량 제고

∙ 산학협력: 마이크로융합트랙-연구팀-기업-지자체부서 협업 기반 실용적 연구를 통한 지역산업 혁신 견인

인재상

핵심역량
운동과학-공학 융합형 글로벌 창의∙협동 인재

∙ 핵심역량 1: 액티브시니어 및 고령자의 생활습관, 질환, 생리현상에 대한 이해, 공학 분석 역량

∙ 핵심역량 2: 액티브시니어 및 고령자의 질병, 생체계측, 원격모니터링 기술의 운동과학 응용 역량

∙ 핵심역량 3: 액티브시니어 및 고령자의 빅데이터 분석 및 AI 기술의 복합 활용 역량

∙ 핵심역량 4: 글로벌 Top 수준의 학술소통 능력과 사회적 헌신을 우선하는 높은 인성 역량

구분 교육 연구 산학
자원투입

[예산]

∙ BK 사업비 확보

∙ 연구비(중앙정부, 산업체, 지자체등) 교수 1인당 1억원/년 확보

[시설]

∙ 국고지원 장비비 5천만원/년 확보

∙ 캠퍼스혁신파크 내 융합연구실 및 강의실 확보

[인력]

∙ 참여교원 최대 22명

∙ 석사 최대 47명 / 박사 최대 7명

∙ 신진연구인력 2명

핵심전략

∙ 6개 마이크로융합트랙(교육과정)별 연구팀-기업파트너-국제협력파트너-지자체부서파트너를 매칭한 TRIG팀을 구성하여 교육연구단 중심 Top-down 운영이 아닌 TRIG팀 중심 Bottom-up 교육∙연구∙산학협력 활동 추진

*TRIG = microTrack based Research team collaborated with Iindustry & local Government

실행
전략

과제

∙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전략

-사회문제해결을 위해 도출된 10대 핵심기술 개발 및 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융합트랙 구축

∙ 대학원생 확보 및 지원 전략

-온/오프라인 양방향 홍보활동

-오픈랩 및 졸업생 취업 질적 홍보

∙ 대학원생 학술활동 지원 전략

-TRIG팀 기반 맞춤형 융합교육 및 연구 지원

∙ 신진연구인력 확보 및 지원 전략

-명품세미나 프로그램을 통한 우수연구인력 참여에 대한 honor 제공

∙ 참여교수 교육역량 향상 전략

-온/오프라인 교수법 개발 지원

∙ 교육의 국제화 전략

-영어강의, 영어학위논문 작성

∙ 연구비 확보 전략

-신산업 육성을 위한 마이트로융합트랙별 TRIG팀 활동 추진

∙ 연구역량 향상 전략

-신연구분야(Health Care for Active Senior) 창출을 위한 운동학∙공학융합학문 TRIG팀 구성

∙ 참여교수 국제학술활동 향상 전략

-교육연구단 및 산학협력단 지원 프로그램 필수 참여

∙ 참여교수 국제공동연구 향상 전략

-국제심포지움 및 TRIG별 워크숍

∙ 연구자 국제교류전략

-TRIG팀 기반 중장기/단기 교류과정 구성 및 해외석학 초빙교수 멘토를 통한 대학원생 글로버 마인드 및 참여율 제고

∙ 산학공동 교육과정 구성/운영 전략

-TRIG팀 내 기업파느터, 지자체 부서파트너를 통한 공동교육과정 수요조사/구성/운영

-산업체교수단 운영

∙ 산업체/지자체 연구비 확보 전략

-현장중심형 연구를 통한 기업 및 지자체부서 파트너의 문제해결

∙ 특허, 기술이전, 창업 전략

-공학-인문사회융합을 통한 융합기술개발 제고

∙ (지역)산업문제 해결 전략

-TRIG팀별 문제도출/전략수립/자원투입/문제해결 선순환 생태계 조성

∙ 산학 간 인적/물적 교류 전략

-TRIG팀 중심의 Bottom-up식 실질적 교류 추진

최종
산출
목표

∙ 인력지원

-석사 연간 24명 -> 47명 지원

-박사 연간 5명 -> 7명 지원

∙ 교육과정

-혁신교수법 적용 연간 3강좌

-산업체 인사참여 강의 운영 연간 4건

∙ 교육 국제화 지표

-영어강의 비율 50% 이상

-영문 학위논문 참여학생 100%

∙ 이공계열 학술논문

-SCI급 2.37편 -> 3.0편/인/년

∙ 인문사회계열 학술논문

-SCI/KCI급 3.43편 -> 4.0편/인/년

∙ 연구비(중앙정부)

-매년 3% 이상 증액

∙ 연구 국제화 지표

-국제공동논문/과제/심포지움/연구자교류:TRIG팀별 연간 각각 1건 이상

∙ 산학공동교육과정

-6개 TRIG팀별 세부프로그램 운영

∙ 산학연구비(산업체, 지자체)

-매년 3% 이상 증액

∙ 산학공동 특허/기술지도

-TRIG팀별 각각 2건 이상

∙ 신학관 인적/물적 교류건수

-TRIG팀별 연간 10건 이상

-기업 및 지자체파트너 지속 확대

최종
성과
목표

∙ 인력배출

-박사 10명 이상/석사 100명 이상

∙ 취업률 98%

∙ TRIG팁별 교보재 개발

-KMOOC 및 핵심융합교재 1건 이상

∙ 이공계열 학술논문(50%p 향상)

-IF(보정) 0.25 -> 0.37/인/년

-ES(보정) 0.434 -> 0.65/인/년

∙ 인문사회계열 학술논문

-SCI급 07편 -> 1.0편/인/년

∙ 산학협력성과

-기술이전 연간 1건 이상

-유지창업 2건

-협력기업 취업 연간 3명

-지역산업문제 해결건수 5건 이상

교육역량 영역

∙ 기계공학, 생물공학, 스포츠과학 융합교과목 기반의 6개 마이크로융합트랙 운영

연구역량 영역

∙ 10대 핵심기술 기반 기계공학, 생물공학, 스포츠과학 융합연구 지원 계획

학술활동 지원 계획

연구활동 지원 계획

∙ 신산업 융합심포지움

∙ 대학원생 상호 융합멘토링

∙ 공동지도교수제 적극 활용

∙ 외부 전문가 초청 특강 개최

∙ 외부 전문가 객원교수 위촉

∙ 융합저널클럽

∙ 창의적∙도전적 대학원생 융합연구회

∙ 국제학술대회 의무참여제

∙ 대학원생 실험실습 집중 오리엔테이션

∙ 학부생 대상 Pre-Lab, Lab/Tour 프로그램

∙ 연구활동 마일리지 제도 운영

∙ 교육연구단 대학원생 peer review 수행

∙ 대학원생 융합연구 프로젝트 경진대회

∙ 대학원생 자체 워크숍 개최 지원

∙ 연구노트 경진대회

박사급 신진연구인력 지원 프로그램

대학원생 학업∙연구 몰입 환경 조성

∙ 신진 연구인력 지원 제도

∙ 신진 연구인력에 대한 공간 확보

∙ 연구성과 실적에 따른 차등 성과급 지급

∙ 박사급 연구원 활성화 제도

∙ 대학원생 연구 집중 프로그램

∙ 학술대회 참가 및 발표 독려

∙ 연구활동 마일리지 제도 운영

∙ 우수 대학/연구소 파견 및 교류

∙ 실험실 안전교육 및 연구윤리 교육

산학협력 역량

∙ 마이크로융합트랙 기업--지자체부서 파트너로 구성된 개 6TRI팀 G기반 산학협력 체계 구축

기대효과

∙ 실버 to 액티브시니어 천이 주도를 통한 초고령화사회문제 해결 방안 제시